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docker
- 요리
- Java
- AbstractViewe
- ORA-00909
- 반응형앱
- 광주
- ORA-01756
- mybatis
- Oracle
- 정민이초밥
- 은혜침구
- 문방구과자
- 루키초밥
- Jsp Pagination
- Responsively app
- Eclipse
- 양동점
- 나주
- SVN사용방법
- ORA-01745
- ORA-01005
- 맛집
- RefreshableSqlSessionFactoryBean
- JavaScript
- 배딩작업
- 디카페인
- 카페
- css
- egov
Archives
- Today
- Total
gnusraun
Document.onload, Document.addEventListener 차이 본문
728x90
1. document.onload
이 이벤트는 웹페이지의 모든 요소(이미지, 스타일시트, 스크립트 등)가 완전히 로드되고 나서 발생
이미지나 다른 외부 파일들이 많은 페이지에서는 성능이 지연 될 수 있다.
DOM 조작을 위한 스크립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.
만약 사용할 경우 하단에 있는 body 바로 위에 넣어서 사용한다.
2. document.addEventListener('DOMContentLoaded', function() {...})
이 이벤트는 HTML이 완전히 파싱되고 DOM 트리가 구축되었을 때 발생한다.
외부 리소스(예: 이미지, 스타일시트)의 로딩 여부와 관계없이 실행된다.
따라서 DOM 조작이 필요한 스크립트에 더 적합하며 **document.onload**보다 일반적으로 더 빨리 실행된다.
결론
document.onload : 전체 페이지의 로딩을 기다려야 하므로 DOM 조작에는 적합하지 않는다.
document.addEventListener('DOMContentLoaded', function() {...})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