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ORA-01756
- ORA-01745
- Oracle
- 문방구과자
- ORA-01005
- 카페
- 양동점
- mybatis
- JavaScript
- 반응형앱
- SVN사용방법
- 배딩작업
- 맛집
- 은혜침구
- Jsp Pagination
- css
- Responsively app
- 디카페인
- docker
- 나주
- 요리
- AbstractViewe
- Eclipse
- 정민이초밥
- 광주
- Java
- 루키초밥
- RefreshableSqlSessionFactoryBean
- egov
- ORA-00909
Archives
- Today
- Total
gnusraun
Oracle 명명 규칙 본문
728x90
:: 테이블 이름 규칙 (Table Naming Rule)
- 대문자로 작성
- 테이블임을 표시하기 위해 앞 또는 뒤에 TB_ || _TB를 붙여준다.
- 의미있는 테이블 명은 3단어까지 사용한다.
-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'_'를 사용한다.
- 각 단어는 최대 8자리까지 사용한다.
- 앞 또는 뒤에 구분명을 붙여준다.
ex) USER_HISTORY, USER_TRIGGER
- 표기 방식 예제
ex) TB_USER, TB_USER_HISTORY
:: 컬럼 이름 규칙 (Column Naming Rule)
- 대문자로 작성
-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'_'를 사용한다.
- 각 단어는 최대 8자리까지 사용하도록 한다.
- 약어의 조합으로 구성한다.
- 컬럼의 의미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*접미사를 사용한다.
- 표기 방식 예제
ex) COMMON_CD, USER_NM, MEMBER_NO
:: 대표적인 접미사 정리
_CD | CODE | 주로 코드 테이블의 코드, 각종 코드에 사용된다. 숫자나 문자로 이루어진 코드에 해당되며, 숫자나 문자의 각 부분이 의미가 있는 경우에 코드를 사용한다. 대부분 PK에 해당한다. |
_NM | NAME | 코드에 대한 명칭에 주로 사용된다. 논리명이 이름, 명칭인 경우에 해당된다. 예) 사용자이름 USER_NM, 자원명 RES_NM, 중분류 코드명 DVSN_NM, 메뉴명 MENU_NM |
_NO | NUMBER | 숫자로만 이루어진 경우, 주로 논리명이 번호인 경우에 사용. 예) 주민등록번호 JUMIN_NO, 조문번호 JO_NO,게시물번호 BOARD_NO |
_SQ | SEQUENCE | 오라클의 Sequence, MSSQL의 Identity의 경우에 사용한다. 숫자 일련번호로 PK를 설정할 경우 SQ를 사용한다. MSSQL의 Identity의 경우 주로 _ID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, 사용자 아이디 – USER_ID의 ID와 의미가 틀려 SQ를 사용한다. 예) 작업번호 WORK_SQ, 이력번호 HISTORY_SQ |
_ID | ID | 주로 사용자 아이디의 경우에 사용한다.예) 사용자아이디 USER_ID, 등록자아이디 REG_ID |
_DT | DATE | 날짜의 경우 사용한다. DT는 날짜 타입이 DATE형인 경우에만 사용한다. 보통 날짜의 경우 CHAR(8)형으로 20050718식으로 저장을 많이 한다. 이런 경우에는 _YMD를 사용한다. 예) 삭제일자 DEL_DT, 변경일자 CHG_DT |
_YMD | YYYYMMDD | 날짜의 경우 사용한다. 날짜 타입이 CHAR 인경우 사용한다. 년월일인 경우 _YMD를 사용하고, 년월형식으로 CHAR(6)로 저장될 경우 _YM을 사용한다. 년도, 월, 일자 인경우에는 YEAR, MONTH, DAY등의 컬럼명을 사용한다. |
_ST | STATE | 상태값이다. 주로 CHAR(1) 형식을 사용한다.예) 사용자 상태 USER_ST |
_FL | FLAG | 플래그값이다. 종종 삭제하지 않는 테이블에 삭제 플래그를 많이 사용된다. 값은 0/1 이나 Y/N을 많이 사용한다.예) 삭제여부 DEL_FL, 요청여부 REQ_FL |
_ORD | ORDER | 순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.예) 컬럼순서 COLUMN_ORD |
_CNT | COUNT | 예) 조회수 VIEW_CNT |
_AMT | AMOUNT | 예) 재고량 STOCK_AMT |
_SUM | SUM | 예) 분기합계 QTR_SUM, 년도합계 YEAR_SUM |
728x90
'Database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ORA-00909 invalid number of argument (0) | 2023.05.17 |
---|---|
Oracle ORA-00984 column not allowed here (0) | 2023.05.17 |
Oracle ORA-01756 quoted string not properly terminated (0) | 2023.05.16 |
Oracle 패키지(Package) (0) | 2023.05.13 |
Oracle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(0) | 2023.05.13 |